1탄의 내용에 이어서 진행합니다.
이제 우분투 os가 설치될 공간을 준비해야 합니다.
1. 우분투 os가 설치될 공간 마련하기: 파티션 조정
윈도우 내의 디스크 관리 도구를 사용하여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c에 한개의 ssd(또는 hhd)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저장 공간의 크기를 조정하여 우분투 os 가 설치될 저장 공간을 마련해야 합니다.
- 디스크 관리 도구:
- 저장 공간 마련을 위해 디스크 관리 도구를 켜야 합니다. 아래의 방법 중 하나로 킬 수 있습니다.
* 바탕화면 최하단 좌측의 윈도우즈 마크를 우클릭 - "디스크 관리" 클릭
* 바탕화면 최하단 좌측의 찾기(검색) 창에서 - "디스크 관리" 검색
* Win+ R을 누르고 나오는 실행 창에서 ‘diskmgmt.msc’를 입력합니다
우분투가 설치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디스크 관리에서 줄이려는 볼륨(보통 C: 또는 주 파티션으로 가장 용량이 많은 파티션)을 마우스 우클릭 한 뒤, ‘볼륨 축소’를 클릭합니다.
축소할 공간이 나중에 우분투 os가 설치되고 우분투 os 환경의 저장공간으로 활용되므로, 사용할 공간만큼 축소하시면 됩니다.
축소를 하면 다음과 같이 "할당되지 않은 공간"이 생깁니다. 이제 우분투 os를 설치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2. 우분투 OS 설치
- BIOS에서 부팅순서 설정
우분투 os가 설치된 usb를 연결하고, 컴퓨터를 재부팅합니다.
우분투 os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해당 usb가 가장 첫번째 우선순위로 부팅이 되게 해야합니다.
이를 위해서 컴퓨터 부팅시 bios에 접속해서 해당 부팅 우선순위 조정을 해줘야합니다.
컴퓨터 재부팅 시에 bios에 접속하는 키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제조사 별 BIOS 진입 단축키: 대체로 F10, F12, F2, DEL 키를 사용
* 메인보드 제조사별 상세 BIOS 진입키
1. HP 메인보드: F10
2. ASRock 메인보드: F2 or DEL
3. ASUS 메인보드: F2 or DEL
4. Intel 메인보드: DEL
5. ECS(ELITEGROUP) 메인보드: DEL
6. SONY 메인보드: F2
7. LG, TG삼보, DELL 메인보드: F2 or DEL
8. Lenovo 메인보드: F1 (데스크탑), F2(노트북)
9. GIGABYTE 메인보드: F2 or DEL
10. Acer, Samsung 메인보드: F2 or DEL
컴퓨터가 재부팅되고 "로고"가 출력될 때 해당 키를 연타하면 bios 설정에 진입할 수 있습니다.
* 부팅 메뉴 간 이동하는 키는 메인보드 제조사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방향키(⬅️⬇️➡️⬆️)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상이할 경우 bios 환경의 우측 하단에 설정 관련한 명령키가 언급된 경우가 많으니
그 부분을 참고하여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BIOS에서 “Boot” 탭에 존재(메인보드 제조사별 위치 또는 명칭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부팅 순서를 해당 설치 USB가 먼저 부팅되도록 1번으로 설정(”Boot option” 또는 “Boot priority” 등의 명칭)
- Ubuntu 설치
부팅 순서 변경이 완료되고, Ubuntu 설치 USB로 부팅을 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 화면에서 “Try or Install Ubuntu” 선택 후 엔터
설치 GUI 진입 후 우측의 “Install Ubuntu” 버튼 클릭합니다.
키보드 설정 화면이 나오면 사용할 언어 (한국어)를 찾아서 계속 (continue)진행하시면 됩니다.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면,
Updates and other software(업데이트 및 기타 소프트웨어)
화면이 나옵니다.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고 엔비디아 지포스 그래픽 카드가 설치되어 있다면,
다른 옵션에
"우분투 설치 시 업데이트 다운로드" 및
"그래픽과 Wi-Fi 하드웨어 그리고 추가 미디어 포맷을 위한 서드파티 소프트웨어 설치"
를 체크하시면 편합니다.
"설치 형식" 항목이 나오면
듀얼 부팅으로 설치할 것이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가장 아래의 옵션인 기타(something else)을 클릭하여 진행합니다.
아까 디스크 관리에서 파티션을 조정해서 우분투 설치를 위해 할당하지 않은 영역으로 만들어 둔
공간을 우분투 설치할 공간으로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단계입니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합니다.
1. ‘남은 공간’을 클릭
2. 좌측 하단의 ‘+’ 버튼을 클릭
3. 파티션 종류는 ‘논리 파티션’ 선택
4. 파티션 위치는 '이 공간이 시작하는 지점'
5. 용도는 'EXT4 저널링 파일 시스템'
6. 마운트 위치는 ‘/’로 설정
7. ‘OK’버튼 클릭
이제 '지금 설치' 를 클릭하여 계속 진행합니다.
만약 '바뀐 점을 디스크에 쓰시겠습니까' 라는 경고 창이 뜨면 '계속' 버튼을 눌러 진행하시면 됩니다.
그 다음 설정으로 pc의 기본 날짜, 시간 등을 맞추기 위한 지역 설정 화면이 나옵니다.
세계 지도에서 “Seoul” 위치를 클릭하거나, 검색 창에서 “Seoul”을 입력하여 설정하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로그인 계정 및 암호 설정을 해야 합니다.
우분투 환경에서 특정 패키지 및 프로그램 등을 설치할 때 필요하므로, 설정을 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만약에 우분투os로 부팅 시에 자동으로 바탕화면까지 진입하게 하려면,
"자동으로 로그인" 을 체크하시면 되고,
보안 상의 이유 등으로 로그인 암호를 쳐야 바탕화면까지 진입하게 하려면,
"로그인할 때 암호 입력" 을 체크하시면 됩니다.
이제 설치 진행이 되며, 일정 시간 기다리시면 됩니다.
자동으로 설치가 진행되며, 설치가 완료되면, "지금 재시작"을 클릭하여 재시작합니다.
부팅 디스크(USB)를 제거하라는 글이 뜨면 부팅 디스크를 제거하고 엔터키를 치면 재부팅이 진행됩니다.
(Please remove the Installation medium, then press ENTER)
3. 듀얼부팅 선택: 우분투 부팅 및 windows 부팅 전환 방법
컴퓨터를 켜면 이전과 달리 아래와 같은 화면이 처음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아무 키도 누르지 않고 일정시간(10초 이상) 나두면 자동으로 우분투 os로 진입합니다.
듀얼 부팅으로 사용하는 경우 windows os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화면이 나오면 키보드 방향키로 "windows Boot Manager" 로 이동 후 엔터키를
누르면 윈도우 os 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생성환경 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cuDNN(CUDA Deep Nural Network Library) 설치하기 (0) | 2023.11.28 |
---|---|
CUDA 설치하기 (0) | 2023.11.27 |
엔비디아 GPU 활용을 위한 드라이버 설치(우분투 22.04 기준) (0) | 2023.11.24 |
듀얼부팅 우분투 os 삭제 방법 (2) | 2023.11.23 |
stable diffusion 로컬 설치를 위한 첫단계:윈도우 PC에 우분투22.04 듀얼부팅 설치 #1탄: 우분투 부팅 디스크 만들기 (0) | 2023.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