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GPU 활용을 위한 드라이버 설치(우분투 22.04 기준)
·
생성환경 설정
Stable diffusion 과 같은 생성 AI 프로그램은, 외장 그래픽 카드(GPU)의 자원을 활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즉, Stable diffusion을 이용해 AI 이미지를 생성하는데에는 GPU가 있어야 하고, 그 성능도 좋아야 한다는 말이죠.일반적으로 생성 AI를 위한 외장 그래픽 카드는 Nvidia 사의 그래픽 카드를 많이 사용합니다.(Nvidia가 생성 AI와 관련한 라이브러리 및 패키지를 잘 개발해서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죠) 여기서는 우분투 os 환경에서 Nvidia 그래픽 카드(이하 GPU)를 활용하여 생성 AI 작업을 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서 Nvidia GPU 드라이버 설치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GPU를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GPU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어야 ..
듀얼부팅 우분투 os 삭제 방법
·
생성환경 설정
이전 시간에 윈도우 OS 환경 기반에서 우분투 OS를 추가 설치해 듀얼 부팅하는 법을 알려드렸습니다.그런데, 여러 이유들로 인해 설치된 우분투 OS를 삭제하고 다시 윈도우 OS만 설치된 환경으로 돌아가고 싶은 경우도 존재할 것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듀얼부팅으로 설치된 우분투 OS를 삭제하고 윈도우 OS만 설치된 상태로 돌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Windows 10와 Ubuntu 22.04가 설치된 환경을 전제로 설명합니다. 우분투 파티션 삭제먼저 윈도우 10으로 부팅해서 윈도우에 접속합니다.디스크 관리 도구 열기: Win + R 키를 누르고 'diskmgmt.msc'를 입력한 뒤 Enter 키를 눌러 디스크 관리 도구를 엽니다.  우분투가 설치된 ssd의 파티션을 찾고, 클릭합니다. 위 화면에..
stable diffusion 로컬 설치를 위한 첫단계:윈도우 PC에 우분투22.04 듀얼부팅 설치 #2탄: 파티션 조정 및 우분투 os 설치
·
생성환경 설정
1탄의 내용에 이어서 진행합니다. 이제 우분투 os가 설치될 공간을 준비해야 합니다. 1. 우분투 os가 설치될 공간 마련하기: 파티션 조정 윈도우 내의 디스크 관리 도구를 사용하여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c에 한개의 ssd(또는 hhd)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저장 공간의 크기를 조정하여 우분투 os 가 설치될 저장 공간을 마련해야 합니다.  디스크 관리 도구:저장 공간 마련을 위해 디스크 관리 도구를 켜야 합니다. 아래의 방법 중 하나로 킬 수 있습니다.* 바탕화면 최하단 좌측의 윈도우즈 마크를 우클릭 - "디스크 관리" 클릭* 바탕화면 최하단 좌측의 찾기(검색) 창에서 - "디스크 관리" 검색* Win+ R을 누르고 나오는 실행 창에서 ‘diskmgmt.msc’를 입력합니..
stable diffusion 로컬 설치를 위한 첫단계:윈도우 PC에 우분투22.04 듀얼부팅 설치 #1탄: 우분투 부팅 디스크 만들기
·
생성환경 설정
안녕하세요. AI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을 위해서 보통 stable diffusion 을 많이들 사용하는데요.이를 로컬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webui 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진행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windows os 환경에서 설치하는 방법도 있지만,우분투를 사용하는 경우 추후에 서버 형태로 24시간 관리하기 편하고 python 기반으로 작동하는webui를 가공하여 사용하기 수월하다는 점에서 심도있게 사용하려는 고급 사용자에게 적합합니다. 여기서는 우분투 os 환경 기반에 설치하는 방법을 알려주기 위해가장 첫단계인 윈도우 pc에서 우분투 22.04를 설치하여 2개의 os를 바꿔가면서 사용하는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이를 위해, 우분투 부팅 OS 디스크를 만드는 법을 설명..